보키_기록용
캐릭터 Groom을 카드 메시로 사용하기 본문
잘 알려진 제한 사항
- 프레임 속도는 그룸 크기, 해상도, 실행되고 있는 기반 하드웨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 예를 들어, 1080p의 휴먼 그룸의 경우 RTX-2080Ti에 30Hz 이상의 프레임 속도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. 퀄리티 세팅을 더 높이면 퍼포먼스가 현저하게 저하됩니다.
- 그룸은 아직 미리 연산된 (스태틱/스테이셔너리) 라이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- 뎁스 오브 필드는 지원하지만 아티팩트가 일부 표시될 수 있습니다.
언리얼 공식 문서의 제한 사항에 따라 다수의 유저가 밀집되어 있는 상황에서 퍼포먼스 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, Groom을 그대로 쓰지 않고 카드 메시로 사용하기로 한다.
사진에 사용된 에셋은 MetaHumans에서 가져온 에셋(Hair_M_SideSweptFringe)이다.
시작하기에 앞서 기본 Groom 세팅 법
헤어 렌더링 및 시뮬레이션 퀵스타트 | 언리얼 엔진 5.0 문서 (unrealengine.com)
헤어 렌더링 및 시뮬레이션 퀵스타트
프로젝트의 캐릭터에 헤어 렌더링 및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입니다.
docs.unrealengine.com
Groom Asset
Material | 카드를 나타내는 LOD로 사용하는 할당된 머티리얼이다. 디테일패널 - 머티리얼패널에서 목록을 추가할 수 있다. |
Source Type | 사용할 카드 타입을 선택한다.
|
Procedural Mesh | 카드 지오메트리의 메시 레퍼런스이다. Source Type을 Procedural로 선택 시 사용하는 메시이다. |
Imported Mesh | 카드 지오메트리의 메시 레퍼런스이다. Source Type을 Imported로 선택 시 사용하는 메시이다. |
뷰포트 디스플레이 옵션의 LOD 패널에서 특정 LOD를 볼 수 있다.
그 외 자세한 설명
그룸 에셋 에디터 사용자 가이드 | 언리얼 엔진 5.0 문서 (unrealengine.com)
그룸 에셋 에디터 사용자 가이드
어트리뷰트를 관리하고 그룸 에셋을 편집하는 작업에 대한 레퍼런스 및 사용자 가이드입니다.
docs.unrealengine.com
메타휴먼 레벨 오브 디테일(LOD) 제어하기 | 메타휴먼 크리에이터 문서 (unrealengine.com)
메타휴먼 LOD
LOD 동기화 컴포넌트와 그룸 에셋 에디터를 사용하여 메타휴먼 레벨 오브 디테일을 제어합니다.
docs.metahuman.unrealengine.com
Groom Component
Groom Component의 디테일 패널 - 그룸 패널 - 카드 사용을 체크한다.
해당 옵션은 그룸이 스트랜드 대신 카드/메시 지오메트리를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옵션이다.
결과

'언리얼 > MEM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NK2019 FFastArraySerializer::MarkArrayDirty 오류 (0) | 2022.12.07 |
---|---|
블루프린트 전용 프로젝트를 C++ 프로젝트로 변환하는 방법 (0) | 2022.10.27 |
GetController()와 GetPlayerController()의 차이 (0) | 2022.10.24 |
플러그인 콘텐츠가 콘텐츠 브라우저에 안뜰 때 (0) | 2022.10.14 |
언리얼 학습하기 좋은 사이트 (0) | 2022.10.07 |